1. 예외 재발생이란?
- 예외처리 부분에서 그 예외를 처리할 수 없거나 부분적으로만 처리할 수 있을 경우 다시 예외를
발생 시켜 모든 타입의 예외를 처리하게 할 수 있게 해줍니다.
- 예를 들어 int형 타입의 예외를 처리하고 있는데 갑자기 char형 예외가 발생할 경우 다시 예외를
발생시켜 해당하는 타입의 catch문이 실행되게 할 수 있습니다.
- 마찬가지로 예외발생 예상 지역에 throw point를 지정해주는 개념으로 다가갑니다.
- 예외처리 부분을 작성을 할때 보통 한 곳에서 예외처리를 다 해주기를 원하면서
작성을 하기 때문에 실제로 쓰이는 것은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 해당 부분에 throw; 라고 선언을 해 주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