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시간표나 대회 프로그램등 공식적인 약속의 내 포함된 미래 사건에 대해 이야기 할 때, 현재시제를 사용합니다.
ex) Their plane arrive at 2 o'clock in the morning.
The next meeting of the committie is on November 15th.
We get off the train in Bristol and continue by bus.
A-1. 위와 같은 상황에서 will + 부정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약간의 의미차이는 존재한다. 현재시제는 약속/계획이 고정되고 확정적임을 나타낸다.
B. 개인적인 약속이나 예측에 대해 이야기 하려 할 때에는 현재시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Will, going to, 현재진행형"을 사용한다.
ex) I'm really exhausted. I'm just staying in to watch TV tonight.
Although it is a problem only in Britain at the moment, I think it will affect the rest of Europe soon.
B-1. 그러나 시간표나 모임의 프로그램과 같은 공식적인 계획에 포함된 일부 미래 사건/행동에 대해 명확하고 세세하게 예측할 때에는 현재시제를 사용한다.
ex) There is a full moon tonight.
The sun rises at 5.16 tommorrow.
C. 시간과 관련된 전치사(after, before, until, when)가 붙는 부사절이 같이 쓰인 문장에서 미래에 대해 표현할 때에는 will보다 현재시세를 사용합니다.
ex) After you go another 50 metres, you'll see a path to your left.
When you see Dennis, tell him he still owes me some money.
Wait here until I call you.
C-1. "If, unless, in case, provided"와 같은 조건절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ex) Let me know if he says anything interresting.
Provided the right software is available, I should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I'll bring a a compass in case we got lost.
D. that절 / wh-절과 주절(main clause) 둘 다 미래를 표현하려고 할 때에는 th - / wh -절내에는 현재시제를 사용합니다.
ex) I'm going to make sure ( that ) you are invented next home.
I'll let you know when she gets here.
D-1. 주절(main clause)이 현재를 표현하려고 할 때, th - / wh -절내에 보통 현재시제 대신 will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만약 고정된 약속/계획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할 때에는 will 또는 현재시제를 둘 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
ex) I guarantee that you'll enjoy the play
It is fortunate that they arrive / will arrive at the same time tomo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