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e to 부정사
"Be to 부정사"는 공식적/형식적인 계획, 공식적인 설명에 대해 이야기 할 때 그리고 명령을 할 때 사용합니다.
특히 뉴스의 보도들에서 미래의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려 할때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ex) Children are not to be left unsupervised in the museum.
You are not to leave the school without my permission.
The medicine is to be taken after meals.
The European Parliament is to introduce a new law on safety at work.
A-1. 사람에 의해 제어 될 수있는 것들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서만 be to 부정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ex) We don't know where the meteorite is going to land.(운석은 사람이 제어할 수 없음)
I suppose we will all die eventually.(죽음은 사람이 제어할 수 없음)
B. 먼저
반드시 일어난 일에 대해 주절에서(main clause)에서 설명하고 그에 따라 그 후 일어날 일에 대해
if절에서 이야기 하려할 때 if절내에 be to 부정사를 사용합니다.
ex) If humans are to survive as a species, we must address environmental issues now.
The law needs to be revised if justice is to be done.
B-1. If 절내에서 현재시제와 Be to 부정사의 차이 : 현재시제(조건의 성격), Be to 부정사(목적의 성격)
ex) John has said that he will retire from athletics if he wins gold at the next Olypics.(금메달은 딴다면)
John needs to improve his technique if he is to win gold at the next Olympics.(금메달을 따기하기 위해서는)
C. 미래완료
어떤일이나 사건이 미래의 특정 시점에서 끝나거나 달성되는 것에 대해 이야기 하려고 할 때 미래완료를 사용합니다.
ex) Let's hope the volcanic eruption will have finished before we arrive on the island.
Although people are now angry about what he did, I'm sure that his behaviour will soon have been forgotten.
By the time you get home I will have cleaned the house from top to bottom.
C-1. Will대신 다른 조종사를 사용할 수 있다 - 의미는 좀더 약합니다.
ex) By the time you get home I will/may/should have cleaned the house from top to bottom.
D. 미래 완료 진행형(will have been ~ing)
미래의 어느 시점까지 어떤일이 얼마나 길게 진행되었는지를 강조하기위해 미래 완료 진행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ex) On Saturday, we will have been living in this house for a year.
Next year, I will have been working in the company for 30 years.
D-1. 미래완료 진행형을 사용하는 문장에서는 미래의 어느시점과 그 시점까지 걸린시간을 보통 언급합니다.
그리고 보통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와는 미래 완료진행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ex) Next month I will have known Derek for 20 years.